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소곤소곤왕자나무
- 자존감육아
- 육아일기
- 감정코칭
- 감정표현훈련
- 감정코칭육아
- 육아멘탈관리
- 아이공감대화
- 육아
- 유아자존감
- 예민한아이
- 하루하루육아
- 긍정육아
- 하루10분육아
- 아이와소통하기
- 아이마음
- 감성육아
- 아이성장기록
- 예민맘
- 엄마도감정이있어요
- 엄마자기돌봄
- 감정코칭시리즈
- 아이자존감
- 엄마감정관리
- 긍정대화법
- 비교없는육아
- 자기돌봄육아
- 자존감대화
- 아이마음읽기
- 감각예민
- Today
- Total
목록하루10분 아이 자존감 (30)
평화로운 육아 레시피

30편너는 어떤 모습이든 괜찮은 사람이야 – 존재 전체를 품어주는 말잘할 때만, 착할 때만, 밝을 때만 사랑받는다고 느낀다면아이 마음엔 늘 불안과 긴장이 깔리게 돼요.하지만 진짜 자존감은기분이 안 좋아도, 실수를 해도, 조금 부족해도나는 괜찮은 사람이야 라는 믿음에서 시작돼요.“너는 어떤 모습이든 괜찮은 사람이야.”이 말은 아이 마음에 가장 넓고 가장 깊은 사랑의 바탕을만들어주는 말이에요.그 사랑은 아이가 삶에서 흔들릴 때마다다시 돌아올 수 있는 마음의 집이 됩니다.언제 쓰면 좋을까?혼나고 난 후 말없이 축 처져 있을 때이유 없이 기분이 가라앉아 있을 때아이 스스로 “나는 나쁜 애야…”라고 말할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엄마는 네가 어떤 기분일 때도, 어떤 모습일 때도 좋아.”“너는 그냥 너라서 충분한 사람이..

29편다음엔 더 잘할 수 있어라고 생각하면 돼–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길러주는 말실패 후, 아이가 이렇게 말할 때가 있어요.“나는 안 돼…”“나는 원래 못해.”이건 단순한 낙담이 아니라,자기 자신을 단정 짓는 위험한 신호예요.그럴 때 “괜찮아”라는 말보다 더 중요한 건,아이 안에 ‘다시 해볼 수 있어’라는 목소리를 심어주는 것이에요.“다음엔 더 잘할 수 있어라고 생각하면 돼.”이 말은 아이가 스스로에게 따뜻하고 희망적인 말을 건넬 수 있는 연습이 됩니다.언제 쓰면 좋을까?시험을 망치고 좌절할 때운동이나 게임에서 연달아 지고 낙담할 때자신이 한 행동에 만족하지 못할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지금은 속상하겠지만, 네가 했던 걸 기억하면 다음에 더 잘할 수 있어.”“실패도 경험이야. 그걸 바탕으로 다시 해보면 돼...

28편네가 후회하는 그 마음도 소중해 – 반성을 긍정으로 이끄는 말아이가 실수한 뒤 후회하고 있을 때,우리는 자칫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봐, 그래서 엄마 말 들으랬잖아.”“그러게 왜 그랬어?”이런 말은 아이의 후회하는 마음을 더 깊은 자책으로 몰아가요.하지만 후회는 나쁜 게 아니에요.그건 다시 잘하고 싶은 마음의 표현이자,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예요.“네가 후회하는 그 마음도 소중해.”이 말은 아이가 자기 감정을 안전하게 마주할 수 있게 해주는 다정한 문이에요.언제 쓰면 좋을까?장난으로 누군가를 울리고 나서 울먹이며 후회할 때엄마 말을 안 듣고 실수한 뒤 “괜히 그랬어…” 할 때선택을 잘못했다고 느끼고 자책할 때이렇게 말해보세요“그 마음이 참 예쁘다. 다시 잘하고 싶다는 거잖아.”“후회할 줄 아는..

27편다시 해보면 달라질 수 있어 – 두 번째 기회를 열어주는 말실패나 실수를 경험한 아이는“나 안 할래”“어차피 또 틀릴 거야”하며 스스로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기도 해요.그럴 때 “괜찮아”라는 말만으론 부족해요.필요한 건 ‘다시 해볼 수 있어’는 가능성과 믿음의 메시지예요.“다시 해보면 달라질 수 있어.”이 말은 아이의 마음에 다음 기회와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따뜻한 격려입니다.언제 쓰면 좋을까?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틀렸을 때만들기나 조립이 계속 실패했을 때친구와 화해를 시도했지만 어긋났을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처음엔 안 될 수 있어. 다시 해보면 다르게 느껴질 거야.”“이번 경험 덕분에 다음에 더 잘할 수 있을 거야.”“너는 다시 해보려는 용기가 있는 아이야.”이 말이 주는 효과아이가 실패를 ‘끝’..

26편실패는 누구에게나 있어 – 실패를 받아들이게 하는 말아이가 어떤 일에 실패했을 때,“나만 못했어…”“나는 안 되는 애야…”하고 자신을 쉽게 무너뜨리는 경우가 있어요.그럴 때 “다 잘할 수는 없지”“다음에 잘하면 돼”보다 더 먼저실패는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경험이라는 걸 알려주는 말이 필요해요.“실패는 누구에게나 있어.”이 말은 아이가 자신의 실패를 특별한 약점이 아닌,성장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도와주는 말이에요.언제 쓰면 좋을까?시합에서 지거나, 순위가 낮아 속상해할 때만들기나 과제를 망쳐버려 자책할 때친구와의 관계가 틀어져 후회할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실패는 특별한 일이 아니야. 누구든 다 겪어.”“실패를 해봤기 때문에 더 단단해지는 거야.”“실패는 잘하려고 노력한 사람만 할 수 있는 ..

25편선택한 결과도 함께 책임질 수 있어그게 멋진 사람이야 – 책임감을 키워주는 말아이에게 선택을 맡겼다면,그 결과까지 아이의 경험이 되도록 지켜봐주고, 응원해주는 것이 중요해요.선택이 기대만큼 멋진 결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봐, 그래서 엄마가 그거 하지 말랬잖아.”이런 말은 아이에게‘내 선택은 틀린 선택이었어’라는 상처를 남겨요.“선택한 결과도 함께 책임질 수 있어, 그게 멋진 사람이야.”이 말은 실패해도 괜찮고,경험 자체가 아이를 자라게 한다는 신뢰의 말이에요.언제 쓰면 좋을까?본인이 고른 장난감이 생각보다 재미없을 때선택한 친구와 놀다 다툼이 생겼을 때자신의 판단으로 한 일이 잘 풀리지 않았을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이번 경험도 너한테 꼭 필요했던 걸 수도 있어.”“선택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너는..

24편이번엔 네가 결정해볼래?– 진짜 선택을 맡겨보는 말아이에게 “생각은 해봐”라고 말하면서도결국 어른이 결정해버리는 경우, 참 많아요.그럴 땐 아이가 속으로 느껴요.‘결국 엄마가 정할 거잖아.’“이번엔 네가 결정해볼래?”이 말은 아이에게 진짜 주도권을 맡기고 신뢰를 표현하는 말이에요.작은 선택부터 경험해보며, 아이는 결정하는 연습과 책임지는 감각을 키워갑니다.언제 쓰면 좋을까?어떤 놀이를 할지, 어디 갈지를 정할 때간단한 집안 일이나 역할을 맡길 때스스로 입을 옷이나 먹을 메뉴를 고를 때이렇게 말해보세요“둘 다 괜찮은데, 이번엔 네가 정해볼래?”“엄마는 네 결정을 따라갈게.”“어떤 걸 선택하든, 그 이유가 궁금해.”이 말이 주는 효과아이가 결정하는 주체로 존중받는 경험을 해요스스로 선택한 일에 책임감과..

23편엄마는 정답을 몰라도, 넌 답을 찾아갈 수 있어 – 해결 능력을 믿어주는 말아이가 “이거 어떻게 해?”“정답이 뭐야?” 하고 물어올 때우리는 본능적으로 알려주고 싶어져요.하지만 항상 답을 대신 주다 보면,아이는 점점 ‘누군가가 알려줘야만 할 수 있어’라는 습관을 들이게 되죠.“엄마는 정답을 몰라도, 넌 답을 찾아갈 수 있어.”이 말은 아이에게‘너 안에 답을 찾을 수 있는 힘이 있다’는 신뢰의 말이에요.그 신뢰는 아이의 자존감을 단단하게 만들어줘요.언제 쓰면 좋을까?숙제나 문제를 혼자 풀지 못해 물어볼 때블록 조립이나 만들기 도중 막막해할 때친구 문제나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할 때이렇게 말해보세요“엄마도 잘 모르겠지만, 너라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야.”“힌트를 줄 순 있어. 하지만 ..